NAS

DS118 개봉기 및 간단 후기

dream-liner 2018. 5. 4. 23:54

원글 작성 일시: 2018.03.17 12:38


원래 NAS를 자작해서 헤놀로지를 올려 보려고 했는데 생각해보니까 만들어서 직접 셋팅하기도 귀찮고 헤놀로지가 불법 소프트웨어이다 보니 데이터 안전성과 기능제한이 있는등 불법 소프트웨어에 대한 부담도 있어서 그냥 시놀로지로 사기로 했습니다. 원래 DS281+, 218play, 218 중에 생각하고 있었는데 각각 41, 30, 35만이라 기능하고 성능 따져보면 선택지가 저절로 218+로 가더라고요. 218+를 사기는 조금 부담되서 고민하다가 어차피 NAS용 하드도 1개밖에 없어서 입문용으로 1베이 모델을 사기로 했습니다. 

저는 주 목적이 휴대폰 사진 백업과 트랜스코딩입니다. 휴대폰의 경우 sd슬롯도 없는데다 n드라이브도 꽉차서 3개월정도 백업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구글 포토라는 대안이 있기는 한데 1600만화소 미만, 1080p미만이 무제한 저장용량이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제 폰은 4k를 지원하는데 무제한 업로드를 사용하면 1080p로 변환되어 올라가게 됩니다. 당연히 나중에 다운받거나 본다면 원래 화질보다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n드라이브 4TB 1년 쓰면 본전은 뽑는다는 자기 합리화를 하면서 218play랑 하드웨어 사양이 동일한 ds118을 사게 되었습니다. 시중가로 22만원 정도입니다. 

서론이 좀 길었고 제품을 뜯어보겠습니다.

포장은 상당히 깔끔합니다. 정면에는 주요 기능들이 적혀있습니다. 여기서 눈여겨봐야할 것은 4k 10bit H.265 트랜스코딩입니다.

상단에는 정품스티커, 시리얼, MAC주소가 있습니다. 운반용 손잡이도 있습니다. 딱히 필요성은 못느끼겠습니다.

뒤에는 각 부분의 명칭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상자를 열어보면 스폰지가 한겹 있고 사진은 없지만 그 아래에 본체가 있습니다. 본체도 포장지에 싸여있습니다. 중요한건 본체 포장과 박스 포장이 너무 얇아 박스채 떨구면 제품에 손상이 갈 것 같습니다.

본체를 꺼내고 위부분에는 랜케이블, 전원케이블, 나사, 간단 설명서가 있습니다. 랜케이블은 치사하게 cat.5e를 줍니다. 저는 포장도 안뜯고 버렸습니다.

본체 디자인은 상당히 깔끔합니다. 정면에는 상태 LED 측면에는 시놀로지 로고가 통풍구 역할도 합니다. 후면 포트는 USB3.0x2, 기가비트 LAN, 캔싱턴 락, 전원 포트가 있습니다. 아쉬운게 있다면 본체 플라스틱 재질이 상당히 구린것 같습니다. 만져보면 재질도 좀 그렇고 툭툭 쳐봤을 때 굉장이 약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주먹한방이면 깨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깨를 재보지는 않았지만 1~2mm정도인 것 같습니다.

결합 나사는 유격 때문에 꽉들어가지 않습니다.

하드디스크는 히타치 데스크스타 NAS용 입니다. NAS용 하드 중에는 드물게 72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WD RED pro도 7200rpm이 있습니다. 회전속도만큼 속도는 빠릅니다. 회전속도에 따른 소음은 5400이나 7200이나 별로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히타치 하드는 특유의 '드르르륵'소리가 있습니다. 이게 상당히 거슬립니다. 하드는 작년 11월에 뉴에그서 직구했습니다. 당시 환율로 약 10만원.

asus tm-ac1900과 같이 놓고 찍어봤습니다. 공유기는 rt68u 정펌 올려서 사용 중 입니다.

순서가 이상하지만 전원어댑터는 플러그부분이 분리형입니다. 국가별로 플러그만 바꿔주는 것 같습니다. 용량은 36w? 일겁니다. 살짝 부족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하드가 동작시 약 10w, 초기 시동시 20~25w정도 먹을 텐데 usb까지 물리면 부족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이 글을 셋팅하고 1주일정도 사용하고 쓰는건데 입문자로써는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입문자라 아직 모든 기능을 익히지 못했고 트랜스코딩, 파일전송 정도만 사용해봤습니다. 트랜스코딩의 경우 2명 동시접속해도 cpu 점유율 50% 정도입니다.


DS118(218play, 218 포함)은 rt1296 cpu를 사용하는데 tvheadend가 아직 이 cpu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해외 포럼도 찾아봤는데 언제 지원될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합니다. j모델은 되는데 play모델이 안된다는게 이상합니다. 따라서 tvheadend를 사용하실 분들은 구매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같은 경우는 라즈베리파이로 tvheadend 서버를 따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이상 DS118 개봉기 및 간단 사용기였습니다.



2018.05.04 수정

현재 tvheadend test build 에서는 rtd1296 cpu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초 지원 빌드에서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는데 현재는 uhd 채널도 녹화가 가능합니다. 관련 내용은 따로 포스팅 하겠습니다.